의미 : 효력이 나타나다. 예문) 우리의 설득이 그에게 주효할지는 두고 봐야 할 것이다. 유의어 : 성효하다 - 어떤 일에 좋은 결과를 맺다. 어원 : 주효 + 하다. 아뢰다, 바치다라는 의미의 주와 본받다, 배우다라는 뜻의 효가 결합하여 ‘주효’가 되었다. 거기에 동사를 만드는 접미사 ‘하다’가 결합하여 구성되었다. 영어 : effective 한자 : 奏 - 아뢰다, 바치다 주. 奏자는 大(클 대)자가 부수로 지정되어 있지만 ‘크다’와는 아무 관계가 없다. 奏자는 양손에 약초를 받쳐 든 모습을 그린 것으로 ‘바치다’라는 뜻을 가진 奉(받들 봉)자와 기원이 같다. 다만 소전에서는 夭(어릴 요)자가 더해지면서 약초가 아닌 ‘(음악을)바친다.’라는 뜻을 표현하게 되었다. 그래서 지금의 奏자는 ‘연주(演奏)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