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미 :
정확하게 맞아 조금도 틀리지 아니하다, 틀림없이 들어맞다
(정확 : 옳고 그름 / 적확 : 적절한가 아닌가.
예문) 정확한 시계, 적확한 표현)
유의어 :
1. 정확하다 - 바르고 확실하다.
2. 적절하다 - 꼭 알맞다.
3. 영락없다 - 조금도 틀리지 아니하고 꼭 들어맞다.
어원 :
어근 적확(的確)에 어미 -하다가 붙어 만들어진 언어. 과녁이란 의미의 적과 굳는다는 의미의 확이 붙어 ‘과녁에 굳걷히 맞힌 것처럼 조금도 틀리지 않다‘라는 의미가 되었다.
영어 :
correct-정확하다
proper-적절하다
한자 :
的 - 과녁, 목표, 분명하다 적
的자는 白(흰 백)자와 勺(구기 작)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勺자는 물을 푸는 용도인 ‘구기’를 그린 것이지만 여기에서는 ‘작→적’으로의 발음역할만을 하고 있다. 그런데 的자의 소전을 보면 白자가 아닌 日(날 일)자가 쓰여 있었다. 태양은 세상을 밝게 비추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的자의 본래 의미는 ‘분명하다’나 ‘선명하다’였다. 날이 좋으면 목표가 잘 보였기 때문일까? 的자는 후에 ‘과녁’이라는 뜻이 파생되면서 지금은 ‘목표’나 ‘표준’이라는 뜻으로 쓰이고 있다.
確 - 굳다, 견고하다, 확고하다, 확실하다 확
確자는 石(돌 석)자와 隺(두루미 학)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隺자는 鶴(학 학)자가 생략된 것으로 ‘두루미’라는 뜻이 있다. 確자는 어떠한 사실에 대한 명확함을 뜻하는 글자이다. 두루미는 평생을 일부일처제로 살며 지조를 지키는 새로 알려져 있다. 아시아에서 두루미가 영물로 인식되고 있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確자는 이렇게 지조를 지키며 사는 두루미와 강한 돌의 이미지가 결합한 글자로 ‘견고하다’나 ‘확고하다’라는 뜻으로 쓰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