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41

한갓지다

의미 : 한가하고 조용하다. 예문) 이 마을은 도시에서 멀리 떨어진 한갓진 곳이다. 유의어 : 1. 조용하다 - 바쁜 일이 없이 한가하다. 2. 한가하다 - 겨를이 생겨 여유가 있다. 3. 한산하다 - 일이 없어 한가하다. 어원 : 한가 + 지다. 겨를이 생겨 여유가 있다는 뜻의 한가하다와 그런 성질이 있음을 나타내는 접미사 -지다가 결합하였다. 두 단어 모두 고유어기 때문에 사이시옷이 결합할 여지가 없지만, 발음상의 이유로 ‘한갓지다‘가 된 것으로 보인다. 영어 : tranquil 한자 : 閑 - 막다, 한가하다 한. 閑자는 門(문 문)자와 木(나무 목)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閑자는 나무로 만든 울타리를 뜻하는 것으로 본래의 의미는 ‘막다’였다. 울타리는 산짐승이 넘어오지 못하게 하거나 가축이 도망가지..

어원 단어장 2023.06.30

곱다시

의미 : 1. 무던히 곱게. 예문) 푸념을 곱다시 듣고만 있다. 2. 그대로 고스란히. 예문) 어젯밤 곱다시 뜬눈으로 새웠다. 유의어 : 무던하다 - 정도가 어지간하다. 어원 : ((주로 ‘곱게’ 꼴로 쓰여)) 편안하고 순탄하다는 의미를 지닌 곱다에 다시라는 어미가 붙었다. 다시에는 특별한 의미가 담겨있지는 않고, 그저 그런 성질을 지녔다는 의미를 더해주며 소리를 맞추었을 뿐이다. 영어 : easygoing 한자 : 鮮 - 곱다, 선명하다, 싱싱하다 선 鮮자는 魚(물고기 어)자와 羊(양 양)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그러나 鮮자는 羊자가 아닌 羴(누린내 전)자가 쓰인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 『설문해자(說文解字)』에서는 鮮자에 대해 "선(鮮)이란 물고기 이름인데 맥(貉)국에서 나온다. 어(魚)와 전(羴)은 모..

어원 단어장 2023.06.29

지스러기

의미 : 골라내거나 잘라 내고 남은 나머지. 예문) 마름질하고 남은 지스러기로 인형 옷을 만들었다. 유의어 : 부스러기 - 잘게 부스러진 물건. 어원 : 부스러기의 옛말 중 ‘사라기’라는 말이 있다. 거기에 찌꺼기를 의미하는 한자 ‘재‘가 결합하여 ‘재스러기’라고 하던 것이 ‘지스러기’가 된 것이 아닐까 추정된다. 영어 : waste 한자 : 渣 - 찌꺼기 사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 ☞ 물)과 음을 나타내는 査(사)가 합하여 이루어짐. 滓 - 찌꺼기 재, 찌꺼기 자, 더럽힐 치 본음(本音)은 자.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 ☞ 물)部와 음을 나타내는 宰(재)가 합하여 이루어짐.

어원 단어장 2023.06.28

허천나다

의미 : (사람이) 몹시 굶주리어 지나치게 음식을 탐하다. 유의어 : 굶주리다 - 먹을 것이 없어서 배를 곯다. 어원 : 몹시 굶주리거나 궁하여 체면 없이 함부로 먹거나 덤빈다는 의미의 ‘허천’ + 그런 성질이 있음을 더하고 형용사를 만드는 접미사인 ‘나다’. 영어 : starve 한자 : 虛 - 비다, 공허하다 허 虛자는 虎(범 호)자와 丘(언덕 구)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丘자가 다른 글자와 결합할 때는 바뀌기 때문에 虛자는 丘자가 결합한 것으로 풀이해야 한다. 丘자는 ‘언덕’을 뜻하는 글자이다. 그러니 虛자는 마치 호랑이가 언덕에 있는 듯한 모습이다. 맹수의 왕이 나타났으니 모두 도망가기 바쁠 것이다. 그래서 虛자는 드넓은 언덕에 호랑이가 나타나자 모두 사라졌다는 의미에서 ‘비다’나 ‘없다’라는 뜻을..

어원 단어장 2023.06.27

군입정

의미 : 때 없이 군음식으로 입을 다심. 유의어 : 1. 군것질 - 끼니 외에 과일이나 과자 따위의 군음식을 먹는 일. 2. 군입 - 때 없이 군음식으로 입을 다심. 3. 주전부리 - 때를 가리지 아니하고 군음식을 자꾸 먹음. 또는 그런입버릇. 어원 : 군 + 입 + 정. 쓸데없는, 덧붙은이라는 의미를 지닌 군에 입을 더해 ‘쓸데없는 음식으로 입을 다신다’는 뜻의 ‘군입’이라는 단어가 있다. 거기에 느낌이 일어나는 마음이라는 뜻의 ‘정’이 붙어 ‘때 없이 군음식으로 입을 다신다’는 말이 되었다. 영어 : snacking 한자 : 情 - 뜻, 사랑, 인정 정 情자는 心(마음 심)자와 靑(푸를 청)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靑자는 우물 주위로 푸른 초목이 자라고 있는 모습을 그린 것으로 ‘맑다’나 ‘푸르다’라는..

어원 단어장 2023.06.26

해찰하다

의미 : 1. 마음에 썩 내키지 아니하여 물건을 부질없이 이것저것집적거려 해치다. 2. 일에는 마음을 두지 아니하고 쓸데없이 다른 짓을 하다. 예문) 아이들이란 자칫 한눈팔고 해찰하기 일쑤라서 가끔 주의를 환기할 필요가 있다. 유의어 : 해치다 - 사람의 마음이나 몸에 해를 입히다. 어원 : 마음에 썩 내키지 아니하여 물건을 부질없이 이것저것집적거려 해침. 또는 그런 행동을 의미하는 단어 해찰. 해찰의 유래는 어쩌면 풀고 살핀다는 의미의 ‘解’일지도 모른다. 즉, 내 마음에 찝찝한 부분을 없애기 위해 이리저리 집적거리던 모습이 ‘해찰’의 의미를 지니게 된 것이다. 영어 : meddle with and spoil things 한자 : 解 - 풀다, 깨닫는다, 벗기다 해 解자는 角(뿔 각)자와 刀(칼 도)자..

어원 단어장 2023.06.25

잡도리

의미 : 1. 단단히 준비하거나 대책을 세움. 또는 그 대책. 예문) 잡도리를 차리다. 2. 잘못되지 않도록 엄하게 단속하는 일. 예문) 이번에 잡도리를 못 하면 더 버릇없는 사람이 되고 말 것이다. 3. 아주 요란스럽게 닦달하거나 족치는 일. 예문) 매에 못 이기어 아무렇게나 대어 놓으면 또 잡도리가 시작되는 것이다. 유의어 : 1. 대비 - 앞으로 일어날지도 모르는 어떠한 일에 대응하기 위하여 미리 준비함. 또는 그런 준비. 2. 대책 - 어떤 일에 대처할 계획이나 수단. 3. 준비 - 미리 마련하여 갖춤. 어원 : 어원이 뚜렷하지는 않지만 잡 + 도리의 구성일 것으로 추정된다. 잡은 ‘자질구레한’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고 도리는 ‘부분’을 뜻하는 옛말이다. 즉, 자질구레한 부분이란 의미로 쓰이던 ‘잡..

어원 단어장 2023.06.24

덜름하다

의미 : 1. 입은 옷이 몸에 비하여 길이가 짧다. 예문) 아이가 너무 빨리 자라서 지난해에 입던 옷이 덜름하니 입힐 수가 없다. 2. 어울리지 않게 홀로 우뚝하다. 예문) 허허벌판에 덜름하게 서 있는 집. 유의어 : 1. 덩그렇다 - 넓은 공간이 텅 비어 쓸쓸하다 2. 뎅그렇다 - 넓은 공간에 단출하게 남아 있다. 3. 짧다 - 잇닿아 있는 공간이나 물체의 두 끝의 사이가 가깝다. 어원 : 덜름 + 하다. 북한어 중 옷 따위가 들리어 보이는 모양을 의미하는 ’덜름‘이란 단어가 있다. 우리말의 덜름 또한 유사한 어원을 지녔을 것이라 추정된다. 즉 옷이 들릴만큼 짧다는 뜻에서 ’덜름하다‘라는 말이 구성되었다. 영어 : rather short 한자 : 短 - 짧다, 가깝다 단 短자는 矢(화살 시)자와 豆(콩..

어원 단어장 2023.06.23

아망스럽다

의미 : 아이가 오기를 부리는 태도가 있다. 예문) 계집아이가 여간 아망스러운 것이 아니야. 유의어 : 고집스럽다 - 보기에 고집을 부리는 태도가 있다. 어원 : 아망 + 스럽다. 아망이란 아이들이 부리는 오기를 뜻하는 순우리말이다. 아망은 아이를 뜻하는 한자 ‘아’와 바란다는 의미의 ‘망’이 결합하여 ‘아이가 원하는 것을 쟁취하기 위해 고집을 부리는 모습’을 뜻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영어 : child’s pride 한자 : 兒 - 아이, 젖먹이 아 兒자는 儿(어진사람 인)자와 臼(절구 구)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兒자의 갑골문을 보면 人자 위로 머리와 이빨이 그려져 있었다. 이것은 아직 머리 혈이 닫히지 않은 아이의 머리와 젖니를 함께 표현한 것이다. 그러니 兒자에 쓰인 臼자는 ‘절구’와 관계없이 아이..

어원 단어장 2023.06.22

불뚝거리다

의미 : 1. 무뚝뚝한 성미로 갑자기 자꾸 성을 내다. 예문) 사소한 일로 불뚝거리다. 2. 여기저기서 잇따라 갑자기 불룩불룩하게 솟아오르다. 예문) 근육이 불뚝거리는 팔. 유의어 : 1. 불뚝대다 - 무뚝뚝한 성미로 갑자기 자꾸 성을 내다. 2. 불뚝불뚝하다 - 무뚝뚝한 성미로 갑자기 잇따라 성을 내다. 3. 뿔뚝거리다 - 무뚝뚝한 성미로 갑자기 자꾸 성을 내다. ‘불뚝거리다’보다 센 느낌을 준다. 어원 : 무뚝뚝한 성미로 갑자기 성을 내는 모양이나 갑자기 불룩하게 솟아오른 모양을 뜻하는 단어 ‘불뚝’에 접미사 ’거리다‘가 결합하였다. 영어 : anger 한자 : 怒 - 성내다, 꾸짖다 노. 怒자는 奴(종 노)자와 心(마음 심)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奴자는 손으로 여자를 잡은 모습을 그린 것으로 ‘노예..

어원 단어장 2023.06.21